가스라이팅 뜻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하신가요? 본 글에서는 가스라이팅이란 무엇인지 정확한 뜻을 쉽게 설명해 드리고, 내가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직접 점검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가스라이팅이란 말은 요즘 SNS 등 여러 매체에서, 가벼운 일상 속 대화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이기 때문에 가스라이팅 뜻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럼 아래에서 가스라이팅의 뜻과 유래부터 가스라이팅을 당할 때 주로 듣는 말들, 그리고 가스라이팅이 일어났을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목차
- 1. 가스라이팅 뜻과 유래
- 2. 가스라이팅 자가진단법
- 3. 가스라이팅 예시 (가스라이팅 말투)
- 4. 가스라이팅 당했을 때 대처 방법
- 5. 가스라이팅이 주로 일어나는 관계
- 6. 가스라이팅 연애
1. 가스라이팅 뜻과 유래
가스라이팅 뜻은 ‘사실과 다른 정보를 전달하고 상대방의 심리나 상황을 조작’하여 상대방의 사고를 혼란스럽게 만들어 자신의 입장을 유리하게 하고 지배력을 행사하는 심리 기법입니다.
가스라이팅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 가스라이팅이란 말의 유래가 궁금하신가요? 가스라이팅의 어원은 1938년에 상영된 연극 ‘가스등’에서 비롯되었습니다. 해당 연극에서는 남편이 아내에게 가스 조명을 조작해 일부러 가스 조명을 어둡게 만들고서는 아내가 가스 조명이 어둡지 않냐고 물으면 어둡지 않고 당신이 잘못 본 것이라고 말하며 아내 스스로 잘못됐다고 생각하게 만들어 버립니다. 이러한 상황이 반복되면서 아내는 점점 본인의 인지 능력에 대해 의심하게 되고 남편에게 의존하고 남편의 생각에 동조하게 됩니다.
이렇게 상황을 임의적으로 조작하고 상대방의 인지 능력을 지속적으로 부정하는 과정을 통해 피해자를 깎아내리고, 결국 피해자를 “나는 부족한 사람이야.” “나는 자주 틀려.” “나는 뭘 잘 모르는 사람이야.”라고 생각하게 만들어 스스로의 인지 능력에 대해 부인하게 만듭니다. 피해자의 자존심, 자존감이 떨어졌을 때 강한 통제력을 행사하여 피해자를 완전히 자신에게만 의존하게 만들어 버립니다.
2. 가스라이팅 자가진단법
가스라이팅 뜻을 잘 모르는 상황에서 혹시 “내가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을 해보신 적이 있다면 아래 몇 가지 질문을 통해 판단해보세요.
- 상대방에게 말을 하기 전, 이 말을 해도 되는지 눈치를 보게 되나요?
- 당신의 느낌이나 인상이 상대방에 의해 의도적으로 과장되거나 왜곡되고 있다고 느끼시나요?
- 상대방이 당신의 기억을 항상 잘못된 것처럼 묘사하려고 하나요?
- 상대방을 알게 된 후에 자신감이 없어지고 우울해진 것 같나요?
- 상대방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하는 빈도가 잦은가요?
- 상대방 이외 친구나 가족과 고립, 단절된 것 같은 느낌이 드나요?
위 질문들에 해당되는 것이 많으신가요? 그렇다면 현재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 것일 수 있습니다.
3. 가스라이팅 예시 (가스라이팅 말투)
위 자가진단법에 있는 내용으로도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면, 아래 가스라이팅을 할 때 주로 사용되는 말투들을 보고 혹시 들어본 적 없는지 생각해보세요.
- “넌 너무 예민해.”
- “내가 언제 그런 말을 했어?”
- “네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거야.” “넌 내 말을 항상 왜곡해서 이해하더라. 난 그런 의도가 아니였어.”
- “그게 그렇게 중요한 일이니?”
- “다 너를 위해서 하는 말이야.”
- “사람들이 뒤에서 다 너에 대해 좋지 않게 생각하고 있어”
- “나니까 너랑 만나고 있는 거야.”
위와 같이 상대방의 감정을 무시하고 자존감을 깎아내리는 발언들이 가스라이팅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본인도 모르게 상대방을 가스라이팅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니 나의 발언과 행동을 돌아볼 필요도 있습니다.
4. 가스라이팅 당했을 때 대처 방법
만약 내가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는 것 같다면, 우선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해 보려 노력하셔야 합니다. 상대방의 말만 믿지 말고 상대방의 말과 행동을 주변 상황과 대입해 보며 상대방의 말이 일관성이 있는지, 논리적인지 고민해 보세요. 즉 ‘상대방의 말’과 ‘사실’을 구분하셔야 합니다. 만약 상대방의 말이 사실이 아닌 것 같다면 본인이 가스라이팅을 당하고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하고, 가스라이팅 상대방과의 거리를 두세요. 만약 혼자서 상황을 다루는 것이 어렵다면 꼭 주변 지인 혹은 전문가 등 제 3자에게 현 상황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한 뒤 상담 또는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5. 가스라이팅이 주로 일어나는 관계
연인 관계 : 가스라이팅은 감정 교류가 많이 일어나는 연인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인 관계에서는 상대방을 가해자의 마음대로 조종하고자 할 때 많이 발생합니다. 상대방의 보호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켜 가스라이팅을 행사하곤 합니다.
가족 관계 : 부모와 자녀 관계, 형재자매 간 관계, 친척 관계 등 폭넓은 범위의 가족 관계 내에서 가스라이팅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가족 구성원들의 신념 등을 언급하면서 가스라이팅을 할 수 있습니다.
친구 관계 : 우정이 있는 친구 관계에서도 가스라이팅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친구 관계의 가스라이팅은 주로 경쟁심이나 불안한 감정에서 비롯되곤 합니다. 상대방을 혼란스럽고 헷갈리게 만들어 불안한 감정을 증폭 시키고, 상대방에 대한 우위를 점하려 하곤 합니다.
직장 관계 : 동료 관계, 상사와 후임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해자는 자신의 잘못으로 인한 문제점을 회피하거나 피해자를 이용하여 이득을 취하려고 할 때 가스라이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가스라이팅 연애
위에 작성한 것처럼 가스라이팅은 연인 관계에서도 주로 일어나는데요,
예를 들어, “넌 나같이 좋은 사람 죽을 때까지 못만나”와 같이 상대방을 잘못된 방법으로 언어폭력을 행사하거나, 친구들이랑 술을 먹는다고 말해놓고 밤새 연락이 두절된 상황에서 “넌 왜 이렇게 사람들 못 믿어?”라는 말이나 언짢은 표정을 짓는 등,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상대방을 염치없이 비난합니다. 이런 말과 행동이 쌓이면서, 피해자는 자신이 잘못한 것인가, 지나치게 민감한 것인가, 혹은 그냥 상대의 기분을 상하게 했을까 하는 의문점을 들게 합니다.
가스라이팅 연애는 상대방의 마음을 불안하게 만들며, 상대방에게 잘못한 것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마음에 상처를 입힙니다. 이러한 관계는 전혀 건강한 연애가 아니며, 서로 간의 신뢰와 존중으로 한 연애만이 서로가 더 성장하고 행복감을 느끼는 연애가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게 가스라이팅인가?’ ‘나는 여자친구/남자친구랑 비교해서 왜 이렇게 못났지’라는 생각이 들게 하는 연애는 이어가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가스라이팅은 나와 아주 밀접한 관계에서 일어날 확률이 높으므로 가스라이팅 뜻을 잘 인지하고 있고,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가스라이팅을 당하지 않도록 늘 예의 주시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가스라이팅 뜻 부터 가스라이팅 화법, 예시 그리고 가스라이팅이 주로 일어나는 관계까지 알려드렸습니다.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